분류 전체보기39 거주주택 매도할 때 주택임대사업자 등록 유지해야 양도세 비과세 받아요! 주택임대사업자는 임대주택을 매도할 때, 임대사업자에게 양도하거나, 해당 임대주택을 등록말소하고 매도해야 과태료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와는 다르게 임대사업자가 거주주택을 매도할 때 양도소득세 비과세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세무서 사업자등록 및 지자체 임대사업등록을 계속 유지한 상태에서 매도를 해야합니다. 임대사업자 유형에 따라 세제혜택을 받는 조건이 다르고, 거주주택 비과세를 받기위한 의무임대기간도 다르니 우선 임대사업자 유형 및 의무임대기간에 대해 확인해보겠습니다. 임대사업자유형임대주택 유형의무임대기간폐지 유형구분매입임대건설임대단기민간임대주택4년 이상폐지폐지장기일반민간임대주택8년이상*(20.8.18이후 10년이상)유지(아파트는 폐지)유지(아파트는 폐지) 2020년 8월이 중요한데요, 의무임대기간에 따.. 2024. 11. 13. 주택임대사업자 거주주택 2년이상 거주해야 양도세 비과세 소득세법시행령 제155조 제20항에 보면 주택임대사업자의 거주주택 비과세 관련 내용이 있습니다. 보통 주택임대사업자는 2주택 이상을 보유하고 있는데요, 임대주택 및 그밖의 주택(거주주택)을 소유하게 됩니다. 주택임대사업자가 세무서에 사업자등록, 자자체에 임대주택 등록을 하고 의무임대기간(5~8년 이상)을 임대하는 요건을 갖춘 경우, 거주주택을 양도할 때 1세대 1주택 비과세 혜택이 있습니다. 거주주택 비과세 요건 1. 주택임대사업자등록양도일 현재 세무서에 주택임대 사업자등록을 하고지자체에 민간임대주택에관한 특별법에 의한 주택임대사업자 등록하여 임대할 것. 2. 주택가액 임대개시 당시 기준시가가 수도권 6억원이하, 수도권밖의 지역 기준시가 3억원 이하인 주택 3. 증액 5% 조건임대하는 기간 중에 임대보증.. 2024. 11. 12. 직전임대차계약 임대료 변경되었을 때 상생임대차계약 보증금 5%증액기준 상생임대차계약을 해서 1세대 1주택 비과세 혜택을 받을 때, 보증금 5%내 증액 기준을 잘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전세가격이 시장상황에 따라 낮아지기도 하는데요, 직전임대차계약 중간에 보증금 조정을 해주었다면 5% 증액 기준은 어떻게 될까요? 김씨의 사례2017년 11월, 10억원에 A주택 취득2020년 4월, 보증금 5억원, 첫번째 임대차계약2021년 4월, 시세하락에따른 임차인의 요청으로 계약기간 중 보증금 1억원 반환함.2022년 4월, 보증금 5억원, 두번째 임대차계약2024년 4월, 임대인은 12억원에 A주택을 양도함. 김씨는 두번째 임대차계약 시 보증금 5억원이 첫번째 계약과 동일하니 상생임대주택에 해당되는 것으로 알고 양도세 비과세 신고했으나 보증금 5% 초과 증액으로 판정되어 양도소득.. 2024. 11. 11. 문화상품권 교보문고 바로드림 사용방법[교보캐시 전환] 가끔 문화상품권을 선물 받게되는데요, 대부분 책을 구매하게됩니다.동네 교보문고에 가서 오프라인으로 책을 사면 온라인보다 10% 비쌉니다. 교보문고 바로드림을 이용하게 되면 온라인같이 10% 할인된 금액으로 책을 구매할 수 있는데, 문화상품권으로 교보문고 바로드림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스마트폰으로 교보문고 앱으로 들어갑니다. 물론 로그인하시고요. 아래 동그라미 표시 부분을 누르고, 중간부분에 나의 통장 -> 교보캐시를 선택 중간부분 교보캐시 충전/전환 선택하면충전하기 전환하기 탭이나오는데,전환하기에서 문화상품권 선택. 녹색 금액 부분을 연금복권처럼 동전으로 긁어주면 18자리 PIN번호가 나옵니다. PIN번호 18자리를 입력하고 금액확인을 누르면 해당금액 확.. 2024. 11. 10. 이전 1 2 3 4 5 6 ··· 10 다음